본문 바로가기
마음과 통장

자기계발서만 읽던 내가 찾은 돈 많이 버는 직업의 비밀

by 나힘 2025. 10. 2.
반응형

돈 많이 버는 직업은 누구나 원하지만, 그 과정은 화려하지 않습니다.

고소득 직업의 현실과 돈을 부르는 습관

 

저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긴 시간 경제활동으로 하면서 살아갑니다.

그런데 모두 비슷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어요.

늘 부자나 고소득자를 부럽다고 말하고,

때로는 헐뜯거나 비난하기도 합니다.

 

저는 가끔 지하철 안을 가득 메운 사람들을 보면서 생각합니다.

'저 많은 사람들은 얼마나 돈을 모아뒀을까?'

'저 사람은 투자 공부를 했을까?'

'직업이 뭘까?'

 

돈을 많이 버는 직업의 사람들이

마냥 부러워서 여러 가지 도전을 했던 적도 많습니다.

여전히 진행 중이기도 합니다.

 


목차


    1. 돈 많이 버는 직업의 환상

    TV 나 각종 매체에서 나오는 "돈 많이 버는 직업'은 딱 정해진 이미지입니다.

    의사, 변호사, 연예인, 대기업 임원 등 또 요즘엔 유튜버, 스타트업 개발자, 크리에이터...

     

    늘 화려하게 보여서 마냥 부럽고 멋져 보이기까지 해요.

    과정은 보기보다는 결과만 본다는 거예요.

    의사는 방대한 공부량을 학습하고 의사가 되어 긴 시간 병원에서 시간을 보내죠.

    변호사는 밤새도록 판례를 뒤지며, 잠시도 쉴 틈 없어요.

    유튜버는 구독자를 모으기 전까지는 사실상 무급 노동이죠.

     

    돈 많이 버는 직업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누구도 쉽게 도달할 수 있는 길은 아닙니다.

     

     

    2. 내가 경험한 "돈과 만족"의 간극

    돈을 많이 벌어야만 행복하다는 생각 하지만, 

    현실은 야근을 밥 먹듯 하고, 주말에도 노트북을 붙잡고 살지만,

    일하는 만큼 월급이 올라가지도 않아요.

    '나도 이렇게 바쁘게 사는데 왜 연봉은 이렇게 차이가 나는지~'

    그렇다고 지금에 와서 다시 수능을 봐야 할까요?

    자신도 없지만, 그게 진짜 행복과 만족감을 줄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자신 있게 결정하기도 어려운 부분입니다.

    돈이 목적이면 허무하고,

    돈이 결과면 즐거울 수도 있을 거요.

     

     

    3. 직업보다 중요한 '돈을 부르는 습관'

    사실상 돈 많이 버는 직업을 지금에 와서 찾아 나서기보다,

    돈이 모이는 습관을 만들어나가는 게 더 현실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1) 소비 통제: 불필요한 감정 소비 줄이기(커피값, 의류비, 화장품 등...) 

        직업이 좋다고 모두 다 부자일까요? 명품 옷, 외제차, 품위유지비로 오히려 통장 잔고가 넉넉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고 해요.

    2) 투자 공부: 금융지식을 키우기

        내 아이에게 좋은 직업을 추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소비습관도 가르쳐 줄 수 있어요.

    3) 부업: 나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부업 찾기

        온라인으로 다양한 직업이 생겨나고 있어요. 시작은 오늘

     

    직업을 바꾸지 않아도 지금 바로 어차피 오늘은 지나가고 내일이 찾아올 테니

    무겁지 않게 가볍게 시작하는 게 훨씬 실질적이죠.

     


     

    돈 많은 직업은 결과만 보면 화려하지만, 과정은 길고 치열해요.

    돈 많이 버는 직업을 부러워하고 좇기보다, 돈이 들어오는 길을 스스로 넓히는 데 집중하려고 합니다.

    직업을 바꾸기보다는 나에게 맞는 돈 습관을 만들어서 변화해 봐요.

    소비, 투자, 부업 같은 습관이 직업보다 현실적인 해답이 될 수 있어요.

    지금 할 수 있는 작은 실천부터 시작해 보세요.

     


     

    2025.09.25 - [마음과 통장] - 저축은 시작, 장기레이스에서 이기려면 시작이 중요!

     

    저축은 시작, 장기레이스에서 이기려면 시작이 중요!

    수입보다 중요한 건 돈을 다루는 습관이며, 저축은 끝이 아닌 시작입니다. 차곡차곡 저축해서'적금 만기일 되면 무언가를 해야지?'한적 있으시죠?마치 적금 만기일이 끝인 거처럼 사용해 버렸던

    us-him.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