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통장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란? 은행이 대출을 거절하는 진짜 이유

by 나힘 2025. 11. 4.
반응형

DSR이란 무엇일까요? 내 소득 대비 빚 상환 능력을 숫자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DSR이 높으면 왜 대출이 거절되는지, 쉽게 설명해 봤어요.

 


목차


    1. 왜 은행에서 돈을 더 못 빌렸을까?

    대출 더 받으려 했는데 은행에서 거절당했다? 
    이유는 단 하나, DSR이 너무 높다는 거였어요. 

    처음엔 저도 ‘DSR이 뭐길래 돈을 못 빌리게 하지?’ 궁금해서 찾아봤어요 

     DSR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ebt Service Ratio)이라는 긴 이름의 경제용어예요. 
    쉽게 말하면, 

    “내가 버는 돈 중에서 빚 갚는 데 얼마나 쓰고 있는가?” 
    를 알려주는 ‘빚 관리 점수’입니다 

    2. DSR을 아주 쉽게 설명하면? 

    예를 들어보면,

    한 달 월급이 300만 원

    매달 갚은 대출 원리금 150만 원

    이런 경우  DSR 계산하는 법


    DSR = (매달 갚는 원리금 ÷ 월 소득) × 100 
    = (150만 ÷ 300만) × 100 = 50% 

    즉, 
    한 달에 버는 돈의 절반(50%)을 빚 갚는 데 쓰고 있는 거예요. 

    은행 입장에서는 “이 사람은 소득 절반이 이미 빚 갚는데 쓰이고 있네?” 하니까 
    추가 대출은 위험하다고 판단하는 거죠. 

    3. ‘원리금’이 뭐야? 

    여기서 중요한 단어가 바로 원리금이에요. 

    원금: 처음 빌린 돈 

    이자: 그 돈을 빌린 대가로 내는 돈 

    즉, ‘원리금’은 

    “빌린 돈(원금) + 그에 대한 이자” 
    를 합친 금액이에요. 

     원리금은 매달 우리가 갚는 돈은 ‘이자’만 내는 게 아니라 
    조금씩 원금도 같이 갚고 있는 걸 말해요 

    4. DSR이 높으면 어떤 일이 생길까? 

    30% 이하 : 안정적 상황 - 소득 대비 빚 부담이 적음

    40~50% : 주의 필요 - 추가 대출이 제한될 수 있어요

    60% 이상: 위험 - 대출이 거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DSR이 높을수록 은행은 위험하다고 판단합니다. 

     이유는 
     생활비도 써야 하고 세금도 내야 하는데 
    소득의 절반 이상이 이미 빚 갚는 데 쓰이고 있으면 
    “언제든 갚기 힘들어질 수 있다”라고 보는 거예요. 

    구분 의미 이해하기 쉬운 설명
    LTV 집값 대비 대출비율 집값 1억이면 최대 얼마 빌려줄까?
    DTI 연소득 대비 이자상환비율 버는 돈으로 이자 감당 가능한가?
    DSR 연소득 대비 원리금상환비율 이자 + 원금까지 다 갚을 수 있나?

    DTI는 ‘이자만 계산’, 
    DSR은 이자 + 원금까지 계산이에요. 
    그래서 DSR이 더 정확하고 힘든 기준이에요. 

    6. 왜 정부가 DSR 규제를 강화할까? 

    정부는 ‘빚내서 집 사는 사람들’을 줄이기 위해 
    DSR 규제를 단계적으로 강화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2025년부터는 모든 금융권 대출 합산 DSR 40% 제한이 적용될 예정이에요. 

    이 말은 즉, 

    “소득의 40% 이상은 빚 갚는데 쓸 수 없다” 
    는 뜻이에요. 

    이렇게 해야 가계부채 폭탄을 막을 수 있거든요. 
    (사람들이 너무 많은 빚을 지면, 경제 전체가 흔들릴 수 있어요.) 

    7. 내 DSR을 관리하는 현실적 방법 

    소득 늘리기 
    → 부업, 투자 수익, 자격증 등으로 ‘공식소득’을 늘리면 DSR이 낮아집니다. 

    불필요한 대출 정리하기 
    → 신용대출, 카드론, 자동차 할부 등을 먼저 줄여야 해요. 

    대출 만기 길게 설정하기 
    → 매달 갚는 금액이 줄어들면 계산상 DSR도 낮아져요. 

    예를 들어, 
    3년짜리 3천만 원 대출을 5년으로 늘리면 
    매달 상환액이 줄어들어 DSR이 완화돼요. 

    8. 예시로 보는 DSR 이해

    구분 월소득 대출원리금 DSR
    김누구 300만 원 120만 원 40%
    이누구 400만 원 200만 원 50%
    박누구 250만 원 150만 원 60%

     같은 금액을 빌려도 누가 얼마를 버느냐에 따라 DSR은 달라져요. 
    즉, 소득이 많을수록 더 많이 빌릴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해요.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9. 정리

    DSR은 소득 대비 빚을 갚는 비율입니다.

    40% 이하를 안전하게 봅니다.

    소득 늘리거나 대출을 줄이고 어려울 경우 대출 기간을 늘리면 관리가 가능해요.

    DSR로 대출 거부 되는 이유는 가계부채 위험 방지를 위해서입니다.

     

    돈을 빌릴 수 있느냐 없느냐”는 결국 DSR이 결정 
    은행은 내 ‘소득 대비 갚는 능력’을 숫자로 평가해요. 
    DSR을 모른 채 대출을 신청하기보다 스스로 체크해 보세요.
    내 DSR을 알면, 대출도 전략이다. 


    2025.10.31 - [경제통장] -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기준·의미·최근 추세 완벽 정리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기준·의미·최근 추세 완벽 정리

    우리 집의 ‘빚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경제 체온계 목차1.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이름부터 어렵다? 뉴스에서 이런 문장 보셨어요?“가계부실위험지수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

    us-him.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