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살도 이해할 수 있는 가계수지의 모든 것
목차
1. 가계수지란?
돈을 벌고 있지만, 늘 통장은 텅 비어있어요.
'돈의 방향'을 모르면, 통장은 늘 텅 빈다는 사실 알고 계세요?
이때 필요한 게 바로 가계수지(家計收支)입니다.
이 단어만 보면 좀 어렵게 느껴지죠? 하지만 아주 쉽게 설명할 수 있어요.
가계수지는 집에서 번 돈(수입)과 쓴 돈(지출)을 비교한 기록이에요
나라는 가계의 수입과 지출을 조사하여 국민의
소득 수준과 생활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표본으로
선정된 가계에 한 달간의 소득과 지출을
기록하도록 한 다음 이를 토대로 가계수지 통계를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어요.
즉, 우리 집이 돈을 잘 쓰고 있는지 보여주는 표예요.
'집안의 돈 성적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 가계수지, 이렇게 계산된데요!
가계수지는 일정 기간(보통 한 달) 동안의 수입과
지출을 비교해서 돈이 남았는지(흑자), 모자랐는지(적자)를 보여줍니다.
흑자는 수입이 지출보다 많아요 예) 용돈 5만 원 중 3만 원만 써서 2만 원이 남는 경우와 같아요.
적자는 지출이 수입보다 많아요 예) 용돈 5만 원인데 6만 원을 써서 1만 원을 빚진 거예요.
흑자: 남은 돈이 있다는 뜻
적자: 번 돈보다 더 썼다는 뜻
즉, 흑자 가정은 번 돈 일부를 저축한 집,
적자 가정은 빚을 내서 쓴 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우리나라의 가계수지 통계는 이렇게 만들어진데요
우리나라에선 통계청이 전국 가정의 소득과 지출을 조사해요.
그 이유는 단순합니다 (한 가정이 곧 사회이기 때문)
“국민이 얼마나 벌고, 어떻게 쓰는지 알아야 경제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통계청은 표본으로 선정된 가정에 ‘가계부’를 나누어 줍니다.
그 가정들은 한 달 동안의 수입과 지출을 꼼꼼히 기록해야 해요.
그 데이터를 모아 가계수지 통계로 발표합니다.
마치 나라 전체의 돈 건강검진표 같은 거예요.
이 통계로 정부는 국민의 소득 수준, 물가, 생활 실태를 파악한다고 해요.
4. 가계부에는 어떤 항목이 있을까요?
소득 항목과 비용 항목으로 나뉩니다.
용돈을 받으면 수입이에요. 과자를 사면 지출이고, 남은 돈을 저금하면 그게 흑자입니다.
👉 소득
일해서 버는 돈 [근로소득]
장사해서 버는 돈 [사업소득]
가진 자산에서 생기는 돈 [재산소득]
누군가에게서 받은 돈(정부 보조금등..) [이전소득]
👉 지출
먹는 데 쓰는 식재료, 외식비
집 관련 비용 월세, 대출이자
관리비, 난방비
건강 관련 병원비, 약값
교옥비 학원비, 교재비
5. 가계수지를 흑자로 만드는 습관 5가지
① 하루 지출을 기록하는 습관
돈은 기억보다 기록이 더 정확해요
하루 5분만 투자해서 지출을 적는 습관을 들이세요.
📍 Tip: 하루를 마무리하며 “오늘 돈을 어디에 썼지?” 적는 습관,
그게 바로 ‘흑자 가계’의 첫걸음입니다.
② 필수지출과 선택지출을 구분하라
필수지출은 꼭 써야 하는 돈(식비, 월세),
선택지출은 없어도 되는 돈(커피, 게임, 외식)
📍 Tip:
“이건 정말 필요한가?”
이 한 문장만 떠올려도 지출이 줄어요.
필수지출은 카드, 선택지출은 현금으로 나눠 관리해 보세요.
③ 정기 지출을 미리 계산하라
휴대폰 요금, 보험료, 구독료 같은 고정비용은
매달 자동으로 빠져나가지만, 잘 눈에 띄지 않습니다.
📍 Tip:
‘정기 지출 달력’을 만들어
언제, 얼마가 나가는지 표시해 두세요.
불필요한 구독은 과감히 정리!
④ 예비비 통장으로 위기를 막아라
갑작스러운 병원비나 고장 난 가전제품은 예고 없이 찾아옵니다.
그럴 때 도움 되는 게 예비비(비상금) 통장이에요.
📍 Tip:
월급의 10%를 자동이체로 예비비 통장에 넣으세요.
비가 올 때 우산을 찾는 것보다, 미리 챙겨두는 게 훨씬 낫죠.
⑤ 돈이 일하게 만들어라 — 작은 투자 시작
돈을 모으는 것도 중요하지만, 돈이 돈을 벌게 하는 습관은 더 중요합니다.
초보자라면 CMA, 적금, ETF 같은 안전한 상품부터 시작하세요.
📍 Tip:
‘복리’의 힘을 믿으세요.
하루 1,000원이라도 꾸준히 모으면
1년 뒤엔 미래가 달라집니다.

가계수지는 집안의 돈 건강성적표입니다.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삶의 방향을 보여주는 거울입니다. 수입과 지출의 차이를 알면 적자에서 흑자로 바꿀 수 있어요.
2025.11.04 - [경제통장]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란? 은행이 대출을 거절하는 진짜 이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란? 은행이 대출을 거절하는 진짜 이유
DSR이란 무엇일까요? 내 소득 대비 빚 상환 능력을 숫자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DSR이 높으면 왜 대출이 거절되는지, 쉽게 설명해 봤어요. 목차1. 왜 은행에서 돈을 더 못 빌렸을까?대출 더 받으려
us-him.com
2025.10.31 - [경제통장] -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기준·의미·최근 추세 완벽 정리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기준·의미·최근 추세 완벽 정리
우리 집의 ‘빚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경제 체온계 목차1.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이름부터 어렵다? 뉴스에서 이런 문장 보셨어요?“가계부실위험지수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
us-him.com
'경제통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란? 은행이 대출을 거절하는 진짜 이유 (0) | 2025.11.04 |
|---|---|
|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기준·의미·최근 추세 완벽 정리 (0) | 20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