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야 하기에 필요한 공부를 해야 합니다.  
월급은 꾸준히 받는데… 이상하게 통장엔 늘 바닥.  
초등학교 때부터 대학교까지 어느 누구도 돈에 대해서 가르쳐 주지 않았습니다.  
돈 관리를 하려면 돈에 대한 공부를 시작해야 합니다.  
그 시작은 바로 경제 개념 잡아주는 책 읽기였어요.  
저는 무엇보다 글의 힘은 강력하다고 믿는 사람입니다.   
오늘은 제가 직접 읽고 삶에 진짜 도움이 됐던 경제 책 3권을 소개할게요.  
경제가 어려운 분들, 돈 개념 잡고 싶은 분들께 꼭 추천드리고 싶어요.  
책 요약 + 느낀 점도 함께 담았어요

1.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 돈에 대한 시각이 완전히 바뀐 책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땐 충격이었어요.  
저는 ‘돈은 열심히 일해서 버는 것’이라고만 생각했거든요.  
하지만 저자의 말은 달랐어요.  
"부자들은 돈이 일하게 만든다."  
📘 주요 내용 요약  
부자 아빠: 자산을 사라  
가난한 아빠: 부채를 자산으로 착각  
금융 문해력을 키우지 않으면 절대 부자가 될 수 없다  
학교에서는 돈 공부를 가르쳐 주지 않는다  
✨ 읽고 난 후 느낀 점  
이 책 덕분에 ‘돈을 대하는 태도’ 자체가 바뀌었어요. 
그동안 비상금, 통장 쪼개기, 투자 공부 이런 걸 전혀 안 해봤거든요.  
자산 형성이라는 단어를 처음 제대로 인식하게 됐어요.

2. 『보도 섀퍼의 돈』 – 돈에 대한 철학을 세워준 책
처음 이 책을 읽었을 때, '아 내가 돈을 잘 못 이해하고 있었구나' 하는 자각이 들었어요.  
책은 ‘돈을 버는 법’보다 돈을 대하는 태도, 루틴을 정리해 줍니다.  
그래서 부담 없이 읽히는데, 읽고 나면 뭔가 머리가 정리돼요.  
📘 주요 내용 요약  
돈과의 관계도 인간관계처럼 ‘신뢰’가 필요하다  
돈을 모으려면, 먼저 존중해야 한다  
수입의 한계에 머물기보다 자산을 만들어 키우는 방법을 재시 해 줘요. 
'지출 통제 → 저축 → 투자 → 자유’의 흐름을 이해하라  
✨ 읽고 난 후 느낀 점 
개인적으로 너무 좋아해서 몇 번이고 읽었던 책
돈을 모으는 루틴을 정해주고, 시야를 넓혀주는 느낌이었어요. 
그전까지 전 돈을 그저 ‘써야 하는 것’으로만 생각했어요.  
그래서 충동구매도 쉽게 하고, 저축도 미뤘던 거죠.  
근데 책을 읽고 나서 돈을 대하는 루틴부터 바꿨어요.  
월급 들어오면 먼저 통장 쪼개기로  
생활비, 비상금, 자기 계발, 투자 항목을 나눴습니다. 

3. 『이지영의 심리 계좌』 – 왜 돈이 새는지 정확히 알려준 책
이 책은 진짜 ‘소름’이었어요.  
그동안 제가 절약한다고 생각했던 소비들이 사실은  
‘심리 계좌’에서 허용된 허세 소비였다는 걸 알게 해주는 책입니다. 
📘 주요 내용 요약  
사람은 돈을 ‘용도별’로 다르게 인식한다 (심리 계좌)  
‘예상치 못한 수입’은 쉽게 흥청망청 쓰게 된다  
할인받은 금액은 ‘절약’이 아닌 또 다른 소비 유혹이다  
소비를 정당화하는 감정 패턴을 인식하고 통제하라  
✨ 읽고 난 후 느낀 점  
예전엔 '할인해서 샀으니까 괜찮지~' 하는 생각이 많았어요.  
그런데 이 책을 보고 나서 그게 다 심리 계좌의 착각이란 걸 깨달았죠.  
현재 가지고 있는 돈을 잘 지킬 수 있는 내용을 알차게 담은 책입니다.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신용카드에 대한 생각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줘요.
무엇보다 예전부터 작가님의 경제 개념을 너무 본받고 싶었어요.
정리하며...
지금 당신은 어떤 돈 관리 루틴을 가지고 계시나요?  
혹시 '나는 왜 돈이 안 모일까?'라고 자주 생각한다면,  
이 책 두 권, 꼭 한번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  
경제 개념을 잡는 작은 시작이, 큰 자산의 시작이 될 수 있어요. 
돈을 버는 거보다 더 중요한 게 지키고 관리하는 거라고 합니다.
'마음과 통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부자 되는 법? 먼저 가난한 습관부터 끊으세요 (1) | 2025.09.11 | 
|---|---|
| 부자되는법 [돈 모으는 7가지 습관] (1) | 2025.09.10 | 
| 우리의 지갑이 늘 가난한 이유는 '이것' 때문이다 (1) | 2025.09.09 | 
| 생활필수품 절약, 작은 거부터 실천해봅니다. (1) | 2025.09.08 | 
| 나도 블로그 만들기 (1) | 2025.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