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과 통장

ETF 투자 처음 할 때 꼭 알아야 할 용어들

by 나힘 2025. 9. 16.
반응형

 


목차


     

    투자에 대해서 전혀 모르지만, 뭐라도 해야죠.

    시작은 늘 모르고 낯선 용어들 투성입니다.

    ETF를 시작하기에 앞서 알아두면 좋은 용어들 정리해 봅니다.

     

    "이게 뭐야?" 싶은 단어들 때문에 투자 진입장벽이 더 높게 느껴지죠?

    하지만 용어를 알아가면서 ETF 투자에 대한 불안감보다 배움의 시간으로

    재미있게 시작해 봐요

     

    ETF 투자 입문자들을 위한 핵심 용어

     

    1. ETF 기초 용어부터 이해

    1) Exchange Teaded Fund

    - 거래소에서 사고팔 수 있는 펀드

    - 여러 종목 (주식, 채권, 원자재 등)을 하나로 묶은 상품

    -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사고팔 수 있고, 분산 투자 가능

     

    2) 추종 지수 (인덱스)

    - ETF가 따라가는 기준 지수

    - 어떤 지수를 추종하느냐에 따라 ETF 수익률이 달라집니다.

     

    2. ETF 투자할 때 자주 보게 되는 용어

    1) 시가총액

    총 자산 규모. (ETF 전체 규모를 말해요)

    시총이 크면 유동성이 높아요.

    유동성이 높으면, 투자자들이 많이 매매하는 ETF

    시총이 큰 ETF일수록 거래가 활발해서 안정감이 있어요.

     

    2) 운용보수 (총 보수)

    ETF를 운용하는 데 드는 연간 수수료 비율

    0.09%,0.5% 등으로 표시

    수익률이 비슷한 ETF라면 보수가 더 낮은 쪽이 유리해요.

     

    3) 거래량 (유동성)

    ETF가 얼마나 활발히 거래되는지 나타나는 지표

    유동성이 낮으면 내가 팔고 싶을 때 안 팔릴 수도 있어요.

    일일 거래량이 많은 ETF를 선택하는 게 좋아요

     

     

    3.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용어들

    1) 괴리율

    ETF 가격이 실제 자산가치와 얼마나 차이 나이가 있는지

    예를 들어 괴리율이 +2%면, 실제 가치보다 2%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뜻

    괴리율이 낮은 ETF를 선택해야 불필요한 손실을 막을 수 있어요.

     

    2) 배당금 (분배금)

    ETF가 보유한 종목들에서 나오는 배당 수익을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것

    배당 주는 시기는 주로 분기마다 (3, 6, 9, 12월)

    배당 ETF는 분배금을 위해 투자하는 경우도 많아요.

     

    3) 레버리지 / 인버스

    레버리지 ETF : 지수 상승의 2배 수익을 노리는 ETF (지렛대)

    인버스 ETF : 지수 하락 시 수익이 나는 ETF

     

    4. ETF 고를 때 꼭 체크해야 할 용어

    1) 구성 종목

    ETF가 포함하고 있는 실제 자산 목록

    구성 종목을 보면 이 ETF가 어떤 성격인지 알 수 있어요.

     

    2) 추종 방식 ( 패스브, 액티브)

    패시브 ETF: 특정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는 ETF

    액티브 ETF: 운용사가 지수보다 초과 수익을 목표로 하는 ETF

    초보자는 비용이 낮고 예측하기 쉬운 패시브 ETF가 적합해요.

     

    3) 환헤지 / 환노출

    해외 ETF 투자 시  외화로 이루어지는 거래에서 환율 변동에 따른 거

    환혜지: 환율 변동 리스크를 줄여줌 (환율을 현재 수준으로 미리 고정)

    환노출: 환율 변화가 수익률에 영향을 줌 (환율 변동)

    장기 투자의 경우 환노출 상품이 유리한 경우가 많아요.

     


     

     

    하나 둘 찾아보고 읽어보면서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해요.

    같이 공부하고 부자 돼요.

     


     

     

    반응형